목록분류 전체보기 (134)
초보 개발자의 일기

css box padding의 디폴트 원리 200픽셀의 박스에 50픽셀의 패딩을 주면, css는 기존 박스의 가로를 유지하기 위해 50만큼 박스를 늘림. 이를 막기 위해 box-sizing:border-box를 쓰면 box의 크기를 유지한 채 padding을 줄 수 있다.

Media Queries - Media query는 오직 CSS만을 이용해서 스크린의 사이즈를 알 수 있는 방법이다.(웹사이트를 보고 있는 사용자의 스크린 사이즈) - @media screen and (max-width: 00px) {}을 이용하여 몇 픽셀부터는 달라 보이도록 만들 수 있다. 이를 통해 스크린의 사이즈를 알 수 있다. - min 사이즈와 max사이즈를 조절하여 단계별로 만들면, 스크린 사이즈의 범위를 알 수 있다. - 브라우저에서 inspect의 device toolbar를 이용하여 핸드폰 기종 별 사이즈로 브라우저를 볼 수 있다. - media screen에 (orientation: landscape)를 이용하면, 세로모드인지 가로모드 인지도 구별할 수 있다. 1200px보다 클때 tu..
Trasition transition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변화를 보내주는 애니메이션이다 a { color: white; background-color: tomato; text-decoration: none; padding: 3px 5px; border-radius: 5px; font-size: 55px; transition: background-color 10s ease-in-out, color 5s ease-in-out; } a:hover { color: tomato; background-color: wheat; } 쓰는 법 1: transtion은 state가 없는 요소에 붙어야 한다 처음 생긴 곳에 있어야 한다 state에 transition을 준다면 변화를 준 것(예를 들면 hover라면..

position 1. positon: static (default)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으면 default 값으로 static이 저장되어 있다. 2.position: fixed fixed는 스크롤을 내려도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. 움직이지 않은 위치를 바꾸고 싶을 때는 top, bottom, left, right를 사용해서 움직일 수 있다. 3. position: relative 조금씩 위치를 바꾸고 싶을 때 유용 element가 '처음 생성된 위치'를 기준점으로, top bottom left right으로 위치를 조금씩 수정할 수 있다. 4. position: absolute 가장 가까운 relative 부모를 기준으로 이동 position:relative; 를 해주면 부모가 된다. ..

문제 입력 첫째 줄에 정수 X가 주어진다. (1 d[i//3]+1: d[i]=d[i//3]+1 if i%5==0 and d[i]> d[i//2]+1: d[i]=d[i//2]+1 print(d[a]) Solution # 정수 X를 입력 받기 x = int(input()) # 앞서 계산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DP 테이블 초기화 d = [0] * 1000001 # 다이나믹 프로그래밍(Dynamic Programming) 진행(보텀업) for i in range(2, x + 1): # 현재의 수에서 1을 빼는 경우 d[i] = d[i - 1] + 1 # 현재의 수가 2로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 if i % 2 == 0: d[i] = min(d[i], d[i // 2] + 1) # 현재의 수가 3으로 나누어 떨어..

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연산속도와 메모리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알고리즘, 메모리 공간을 약간 더 사용해 연산 속도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, 하나의 큰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문제로 나누어서 그 결과를 저장하여 다시 큰 문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방법 예시 1. 피보나치 수열 점화식 프로그래밍에서는 이러한 수열을 배열이나 리스트로 표현이 가능하다. 피보나치 함수 코드 # 피보나치 함수(Fibonacci Function)을 재귀함수로 구현 def fibo(x): if x == 1 or x == 2: return 1 return fibo(x - 1) + fibo(x - 2) print(fibo(4))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 f(6)에서의 호출 과정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