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보 개발자의 일기
java script 입문 본문
728x90
java script는 혼자서 작동되지 못한다.
html이 사이트를 열고 js를 불러와서 js가 실행이 된다.
css를 링크하기 위해서 link:를 쓰면 작성한 css를 불러올 수 있다.
js는 css와는 다르게 앞쪽에서 불러오지 않고 후반부에 불러온다.
이렇게 입력 후 ~~~.js 을 끌어오면 입력한 js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한다.
js에는 크게 두가지의 타입이 있다.
첫 번째 데이터 타입: 숫자
integer, float
두 번째 데이터 타입:문자 (text)
콘솔창에 그냥 hello라고 치면 인식을 하지 못한다.

하지만 "hello"라고 치면 인식을 할 수 있다.

이런것을 string 이라 부른다.
js에서는 변수 선언할때 3가지 방법이 있다.
첫 번째
const==바뀌지 않는
console.log(~~~~); 출력을 할 수 있게 해 준다.
const myName="seong jun";
js에서는 긴 변수를 작성할 때 관례가 있다.
첫 단어 이후로 나오는 단어에 대문자를 쓰는 것이다.
myNameSoLong 이런 식으로 말이다.
(camleCase)
파이썬에서는
my_name_so_long 이렇게 작성해주는 관례가 있다.
두 번째

let
let은 재할당이 가능하다.
let myName="seong jun";
으로 변수에 저장을 하고
아래에서 myName="oh hyeon'처럼 다시 할당을 해줄 수 있다.
세 번째 var
var는 let과 굉장히 비슷하지만 사실은 조금 다르다.
let은 제약이 있지만 var는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는다.
예를 들면
let a = b;
let a = c;
재선언 불가능
var a = b;
var a = c;
a = d;
재선언 가능이다.
그래서 js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는 default값으로 const 값을 수정할 때 let var는 되도록이면 쓰지말자!
728x90
'Frontend practice > java 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 if문과 toggle (0) | 2022.05.01 |
---|---|
js 이벤트 (0) | 2022.05.01 |
간단한 calculator 만들기 (0) | 2022.04.30 |
js 문법 (0) | 2022.04.29 |
js 기본 문법 (0) | 2022.04.28 |